세계 석탄산업 세계 석탄산업 현황 현황 > 담당자 : 미래전략팀 이명진 Tel. 033)749-0702 E-mail : arinstar@korea.kr > 작성기준일 : 2018. 12. 31. 1. 석탄 매장량 ○ 세계 총 석탄 확인매장량은 무연탄과 유연탄이 7,183 억톤이며 , 아역청탄과 갈탄이 3,167 억톤으로 막대한 수준으로 전체 매장량 중 북미지역에 25%, CIS 지역에 21.6%,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 41% 가 분포되어 있음 [ 세계 권역별 석탄 확인매장량 (2017) ] ( 단위 : 백만톤 ) 구 분 무연탄 및 역청탄 아역청탄 및 갈탄 총 계 비 중 R/P* 북미지역 226,306 32,403 258,709 25.0% 335 중남미지역 8,943 5,073 14,016 1.4% 141 유럽지역 24,220 76,185 100,405 9.7% 159 CIS 지역 130,162 93,066 223,228 21.6% 397 중동 ⋅ 아프리카 지역 14,354 66 14,420 1.4% 53 아태지역 314,325 109,909 424,234 41.0% 79 전 세계 718,310 316,702 1,035,012 100.0% 134 자료 출처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8 * R/P : Reserve to Production 의 약어로 연말 가채량을 해당연도 산출량으로 나눈 수치로 , 향후에 해당 연도 산출량규모로 채굴할 경우 채굴 가능한 연도를 가리킴 - 석탄은 시추 및 굴진으로 부존이 확인되고 , 현재의 기술수준 하에서 채굴하여 경제성이 있는 부존량을 확인매장량이라고 하는데 , 주요 국가의 석탄 확인매장량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음 [ 국가별 석탄 확인매장량 (2017) ] ( 단위 : 백만톤 ) 국 가 무연탄 및 역청탄 아역청탄 및 갈탄 총 계 비 중 미국 220,800 30,116 250,916 24.2% 러시아 69,634 90,730 160,364 15.5% 호주 68,310 76,508 144,818 14.0% 중국 130,851 7,968 138,819 13.4% 인도 92,786 4,942 97,728 9.4% 독일 8 36,100 36,108 3.5% 우크라이나 32,039 2,336 34,375 3.3% 폴란드 19,808 6,003 25,811 2.5% 카자흐스탄 25,605 - 25,605 2.5% 인도네시아 15,068 7,530 22,598 2.2% 기타 국가 43,401 54,469 97,870 9.5% 자료 출처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8 - 국가별로는 미국이 전체 매장량의 24.2% 로 가장 많으며 , 러시아에 15.5%, 호주에 14%, 중국에 13.4%, 그리고 인도에 9.4% 가 매장되어 있음 2. 석탄 생산 및 수요 ○ BP(2018) 에서 발표된 2017 년 국가별 석탄 생산 현황에 따르면 중국은 1,747 백만 Toe 1) (46.4%) 로 세계 최대 석탄생산국이며 , 미국이 371 백만 Toe(9.9%) 로 2 위 , 호주가 297 백만 Toe(7.9%) 로 3 위 , 인도가 294 백만 Toe(7.8%) 로 4 위를 차지하였고 , 전 세계 생산량은 전년 3,663 백만 Toe 대비 3,768 백만 Toe 로 105 백만 Toe(3.2%) 증가함 ○ 2017 년 전 세계 석탄생산량 (3,768.6 백만 Toe) 은 1981 년 (1,866.1 백만 Toe) 에 비해 2 배 증가했으며 , 1981 년 ~2016 년 누적 생산량은 1,002 억 Toe 임 - 최근 10 년간 (2006~2016) 주요 지역별 석탄생산량은 아태지역에서 지속적으로 증가 하고 있지만 , 그 외 지역들은 증가폭이 미비하거나 감소하는 추세로 나타남 - 2013 년까지 지속적으로 생산량이 증가했던 아태지역은 2014 년부터 생산량이 감소 하 였는데 , 이는 인도의 지속적인 생산량 증가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생산량 감소와 에너지 가격 하락 및 환경규제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성장 등이 원인일 것으로 여겨짐 1) Toe 는 Ton Oil Equivalent 의 약자로 원유 1 톤의 열량인 10,000,000 Kcal 를 가리킴 [ 국가별 석탄 생산 현황 (2017) ] 생산국 생산량 ( 백만 Toe) 전년 대비 증가율 (%) 비중 (%) 중국 1,747.2 △ 3.6 46.4 미국 371.3 △ 6.9 9.9 호주 297.4 ▼ 3.1 7.9 인도 294.2 △ 3.5 7.8 인도네시아 271.6 △ 1.3 7.2 러시아 206.3 △ 6.7 5.5 남아공 143.0 △ 0.7 3.8 콜롬비아 61.4 ▼ 0.9 1.6 폴란드 49.6 ▼ 4.4 1.3 카자흐스탄 47.9 △ 8.5 1.3 기타 국가 278.7 △ 3.8 7.3 전 세계 3,768.6 △ 3 .2 100 자료 출처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8 [ 주요 지역별 석탄 생산량 추이 (2017) ] ( 단위 : 백만 Toe)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2017 북미 지역 중남미 지역 유럽 지역 CIS 지역 중동 지역 아프리카 지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자료 출처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8 ○ IEA(2018) 에 따른 2017 년 국가별 석탄 생산 현황에서는 중국이 3,376 백만톤 (44.7%) 으로 1 위 , 인도가 730 백만톤 (9.7%) 으로 2 위 , 미국이 702 백만톤 (9.3%) 으로 3 위 , 호주가 501 백만톤 (6.6%) 으로 4 위를 차지하였으며 , 전 세계 생산량이 전년 (7,269 백만톤 ) 대비 280 백만톤 증가함 - 중국은 ‘ 대기질 향상 3 개년 행동계획 ’ 을 수립하여 석탄 수요를 15% 감축하는 목표를 설정함 이와 함께 해상교역 연료탄 수입을 금지하는 등의 조치를 통해 수요 감소를 유도하고자 하였으나 이는 미국과의 무역전쟁 영향과 더불어 자국내 석탄 생산량 증대 의 결과를 초래함 - 전 세계 석탄 생산의 3 위 (702 백만 톤 , 9.7%) 를 차지한 미국의 경우 , 석탄 발전소 건설을 용이하게 하고자 석탄 발전소의 이산화탄소 배출 기준을 폐지하려고 함 트럼프는 파리 협약을 계속해서 비판하면서 탈퇴를 공식화하고 있으나 정부의 이런 정책에도 불구하고 석탄은 가스와 재생에너지 등의 경쟁에서 밀려 미국의 발전 믹스를 크게 변화시키지 못할 것으로 전망됨 [ 국가별 석탄 생산 현황 (2017) ] 생산국 생산량 ( 백만 톤 ) 전년 대비 비교 비중 (%) 전년 대비 비교 중국 3,376 △ 134 44.7 △ 0.1 인도 730 △ 22 9.7 - 미국 702 △ 30 9.3 △ 0.1 호주 501 ▼ 2 6.6 ▼ 0.3 인도네시아 488 △ 28 6.5 △ 0.2 러시아 387 △ 22 5.1 △ 0.1 남아프리카 257 - 3.4 ▼ 0.1 독일 175 ▼ 1 2.3 ▼ 0.1 폴란드 127 ▼ 4 1.7 ▼ 0.1 카자흐스탄 106 △ 8 1.4 △ 0.1 기타 국가 700 △ 43 9.3 △ 0.7 전 세계 7,549 △ 280 100 자료 출처 : IEA(2018) Key World Energy Statistics ○ BP(2018) 에 따른 2017 년 국가별 석탄 소비 현황에서 중국이 50.7%(1,892 백만 Toe) 를 소비해 세계 최대 소비국이며 , 인도가 11.4%(424 백만 Toe) 로 2 위 , 미국이 8.9%(332 백 만 Toe) 로 3 위 , 일본이 3.2%(120 백만 Toe) 로 4 위의 소비를 기록하였고 , 전년 (3,732 백 만 Toe) 대비 0.5 백만 Toe 감소함 - 스페인 소비량이 전년 대비 28.5%(13.4 백만 Toe) 가 증가하여 최대 증가율 1 위에 오름 - 우리나라의 2017 년 석탄 소비량은 전년 대비 5.7% 증가하여 최고치 (86.3 백만 Toe) 에 도달함 ○ 2015 년 전 세계 석탄소비량은 3,765 백만 Toe 로 1981 년 (1818.5 백만 Toe) 에 비해 2 배 이상 증가했으며 , 1981 년 ~2017 년 누적 생산량은 1,003 억 Toe 임 - 최근 10 년간 (2006~2016) 주요 지역별 석탄소비량에서는 아태지역 및 중남미지역은 지속적으로 소비량이 증가하고 있지만 , 그 외 지역들은 증가폭이 미비하거나 감소 하는 추세로 나타남 [ 국가별 석탄 소비 현황 (2017) ] 생산국 소비량 ( 백만 Toe) 전년 대비 증가율 (%) 비중 (%) 중국 1,892.6 △ 0.5 50.7 인도 424.0 △ 4.8 11.4 미국 332.1 ▼ 2.2 8.9 일본 120.5 △ 1.7 3.2 러시아 92.3 △ 3.8 2.5 대한민국 86.3 △ 5.7 2.3 남아프리카 82.2 ▼ 2.7 2.2 독일 71.3 ▼ 5.8 1.9 폴란드 48.7 ▼ 1 .4 1.3 터키 44.6 △ 16.3 1.2 기타 국가 536.9 △ 4.5 14.4 전 세계 3,731.5 △ 1.0 100 자료 출처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8 [ 주요 지역별 석탄 소비량 추이 (2006~2016) ] ( 단위 : 백만 Toe) 0 500 1000 1500 2000 2500 3000 3500 2006 2007 2008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북미 지역 중남미 지역 유럽 지역 CIS 지역 중동 지역 아프리카 지역 아시아 태평양 지역 자료 출처 : BP Statistical Review of World Energy 2017 3. 석탄 교역 ○ 석탄은 석유보다 장거리 수송에 많은 비용이 들어 국제 거래에 있어 생산지역과 소비 지역 간에 거리가 짧은 쪽으로 거래를 이루는 블록화를 형성하고 있는데 2017 년 기준 으로 주로 인도네시아 , 호주 , 러시아 , 콜롬비아 , 미국 등이 주요 공급처 를 형성하고 중국 , 인도 , 일본 , 한국 등 아시아의 주요 국가들이 수요처를 형성함 ○ 석탄은 석유와는 달리 부존의 편재성이 상대적으로 덜하나 국가별로 편재성이 존재 하는 가운데 , 매장량이 풍부한 국가들 중 국가의 편의에 따라서 자국 내에서 소비하고 남는 잉여분을 수출하거나 몇몇 국가는 해외 석탄수출을 주목적으로 석탄을 생산하고 있음 [ 국가별 석탄 수출입 현황 (2017) ] 국가 수출량 ( 백만톤 ) 비중 (%) 국가 수입량 ( 백만톤 ) 비중 (%) 인도네시아 387 30.6 중국 263 20.5 호주 379 30.0 인도 207 16.1 러시아 161 12.7 일본 188 14.6 콜롬비아 86 6.8 대한민국 148 11.5 미국 81 6.4 대만 68 5.3 남아공 71 5.6 독일 48 3.7 몽골 33 2.6 터키 38 2.9 카자흐스탄 27 2.1 말레이시아 31 2.4 캐나다 24 1.9 태국 24 1.8 모잠비크 12 0.9 브라질 21 1.6 기타 국가 2 0.4 기타 국가 244 19.6 전 세계 1,263 100 전 세계 1,280 100 자료 출처 : IEA(2018) Key World Energy Statistics - IEA 발간자료에 따르면 , 세계 석탄 수입량은 2017 년도 기준으로 세계 생산량 7,549 백만톤의 16.9%(1,280 백만톤 ) 임 - 수출은 인도네시아 , 호주 , 러시아 , 콜롬비아 , 미국 , 남아공 , 몽골 , 카자흐스탄 , 캐나다 , 모 잠비크 10 개국이 전 세계 총 수출량 12.6 억톤 중 12 억톤을 수출하여 99.8% 정도를 점유한 것으로 파악됨 - 세계 최대 석탄 수출국은 인도네시아로 2017 년에 387 백만톤의 석탄을 수출했으며 , 2 위는 379 백만톤을 수출한 호주 , 3 위는 161 백만톤을 수출한 러시아가 차지하였음 - 석탄 수입은 2017 년 기준으로 중국 , 인도 , 일본 , 한국 , 대만 등 아시아 5 개국이 전 세계 석탄 수입량 중 68% 를 차지하고 있음 아시아 시장의 석탄 수요는 2006 년 이 후 연평균 3.1% 증가하였으며 , 아시아 지역에 대한 주요 석탄 공급국은 호주 , 인도네 시아 , 러시아 , 남아공 , 미국 등임 - 자국 내 생산이 거의 없는 한국 , 일본 , 대만 3 개국이 전세계 석탄 수입량의 약 32%(2017 년 기준 ) 를 점유하고 있음 세계 최대 석탄 수입국은 2017 년에 중국으로 263 백만톤의 석탄을 수입했으며 , 2 위는 207 백만톤을 수입한 인도 , 3 위는 188 백만톤 을 수입한 일본 , 4 위는 148 백만톤을 수입한 우리나라로서 모두 아시아 국가들임 - 중국은 환경규제 강화로 인한 생산량 감축 및 폐광 등에 따라 2016 년 보다 석탄 수 입량이 16 백만톤 증가하였고 2017 년 수입량 2 위인 인도는 전년 대비 8 백만톤이 증가 , 일본은 전년 대비 1 백만 톤이 감소함 4. 석탄 가격 전망 [ 유연탄 ( 발전용탄 ) 가격 전망 ] ( 단위 : USD/Ton) 구 분 2018 2019 2020 2021 2022 호주 (Export Markets) 78.8 74.0 71.2 71.1 71.1 자료 출처 : Commodity price forecasts (IMF, 2017.07)